본문 바로가기

제21대 대선 관외선거인 사전투표 방법 절차 완벽정리

ㅁㅊㅂ 2025. 5. 26.

제21대 대선 관외선거인 사전투표 방법 절차 완벽정리
제21대 대선 관외선거인 사전투표 방법 절차 완벽정리

사전투표가 점점 더 일반화되면서
언제 어디서든 투표 가능한 건 좋은데,
막상 가보면 "관내선거인 vs 관외선거인" 구분부터 헷갈리기 시작하죠?

📌 투표용지 수령 방식, 기표 후 처리 방식, 봉투 사용 여부까지
‘관내’인지 ‘관외’인지에 따라 절차가 완전히 달라집니다!

지금부터 이걸 딱 정리해드릴게요 👇


📍 관내선거인 vs 관외선거인 차이

구분 설명
관내선거인 해당 시·군·구 선거관리위원회 관할 구역 내 주소를 둔 유권자
관외선거인 해당 관할 구역 외 지역에 주소를 둔 유권자 (여행, 출장, 출국 등)

✅ 내가 사전투표하는 투표소의 관할 구역이 내 주민등록 주소지와 같다면 → 관내
✅ 주소지와 다른 지역의 사전투표소에 간다면 → 관외

 

👇함께보면 좋은 글👇

2025.05.25 - [분류 전체보기] - 인천공항 사전투표소 위치


🧾 사전투표 절차 비교

단계 관내선거인 관외선거인
1 신분증 제시 → 본인 확인 신분증 제시 → 본인 확인
2 투표용지 2장 수령 (지역구 + 비례) 투표용지 2장 + 회송용 봉투 수령
3 기표소에서 기표 기표소에서 기표
4 투표지를 그대로 투표함에 투입 봉투에 넣어 밀봉 → 투표함에 봉투째 투입

📌 관외선거인은 반드시 회송용 봉투에 밀봉해서 넣어야 합니다!
기표 후 그냥 넣으면 무효표 될 수 있어요 ❌


📨 관외선거인 봉투 사용 주의사항

  • 회송용 봉투는 반드시 제공받아야 함
  • 기표한 투표용지를 접은 후 봉투에 넣고 밀봉
  • 봉투째로 투표함에 넣어야 함
  • 자체 봉투 사용 불가, 반드시 선관위 제공 봉투 사용

🔍 관외사전투표소 찾는 방법

📱 출발 전에 꼭 확인하세요!
주소지 외 사전투표소도 전국 어디서나 투표 가능합니다.


🧾 사전투표 준비물

  • 주민등록증
  • 운전면허증
  • 여권
  • 모바일 신분증 (PASS 앱, 모바일 주민등록증 등)
    ※ 캡처 이미지 사용 불가! 앱 실행 상태에서 실물 확인 필수

📌 본인 확인이 안 되면 절대 투표 불가!
항상 실물 또는 인증 가능한 디지털 신분증을 챙기세요!


📅 사전투표 일정 및 기본 정보

항목 내용
사전투표 기간 2025년 5월 29일(목) ~ 5월 30일(금)
투표 가능 시간 오전 6시 ~ 오후 6시까지
투표소 위치 전국 읍/면/동 사전투표소 설치
준비물 본인 확인 가능한 신분증
마스크 착용 권장 코로나19 예방 위해 권장사항

✅ 투표소 내부에서 사진 촬영 금지
기표 도장은 투표소 비치 용구만 사용 (개인 펜, 사인펜 ❌)


🧠 마무리 정리

  • 사전투표소를 찾았다면 먼저 내가 관내인지, 관외인지 확인
  • 관외선거인은 반드시 회송용 봉투 사용
  • 투표 방법은 크게 다르지 않지만, 절차와 규정은 꼭 지켜야 유효표 인정
  • 주소지 밖에서도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서나 가능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댓글